
React
REST-API 활용한 카카오 소셜 로그인 구현(feat. React)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소셜 로그인 구현을 맡게 되었다. 다들 프론트엔드는 소셜 로그인에서 할게 많이 없다 쉽다~, 그중에서 카카오가 가장 쉽다~ 이렇게 얘기해서 방심했다. 그렇게 6일간의 소셜 삽질이 시작되었다. 구글링을 해보니 똑같은 카카오 로그인 구현인데도 정말 신기하게 포스팅한 사람들마다 다들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매우 혼란스러웠고 이해하는데 한참 걸렸다. 마침내 성공을 했을 때 극한의 희열감과 이건 반드시 포스팅으로 남겨 놓으리라 다짐하여 지금 글을 작성 중이다. 카카오 개발자 홈페이지를 정말 많이 읽었음에도 프론트엔드가 소셜 로그인을 할 때 어떤 역할을 해주어야 하는지 명확히 감이 오질 않았고 API 활용 방법만 적혀있을 뿐이었다. 프론트와 백엔드의 역할 구분에 대한 개념이 확실히 잡히질 않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