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just realized that I massed up this recipe big time. (이 레시피 완전 망했다는거 방금 알았어요.) = massed up : 엉망으로 만들다. = big time : 제대로, 완전히 응용 : We massed up this project big time. (우리 이 프로젝트 완전 망했어.) I swear. They advertise it like everything's gonna be so easy. (맹세컨데 걔들이 이거 전부 쉬운 것처럼 광고했어.) 응용 : He told me it like everything's gonna be so hard. (모든게 힘들 것 같다고 말했었어.) How am I going to make this work..? (이 일을..
강원대학교에서 주관하는 빅데이터 관련 국비지원 교육과정 교육생 모집 공고를 확인했던게 7월 초.. 당시 지원 가능한 과정이 창업인재과정 2기 뿐이었지만 의지를 불태우며 새로 증명사진까지 촬영하고 열심히 지원서 작성했던 기억이 아직도 선명하다. 그렇게 몇주 뒤 8월 초 문자메세지로 합격자 모집공고가 게시되었으니 확인하라고 연락이 왔다. 결과는 . . . . . 운좋게도 선발! (20명밖에 안뽑기때문에 떨어지면 어떤공부할지 Plan-B 생각중이었는데 다행이다...) 이 교육은 총 4개월 과정으로 640시간정도 위 내용의 교육과 실습이 진행된다. 과정을 우수하게 이수한 교육생은 취업 연계형 인턴십 기회까지 제공 된다고 하는데 인턴십보다는 교육 내용 자체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배우면서 틈나는대로 복습겸 포스팅을..
These are all the things that I've been taking for granted for sure. (내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다.) = take for granted (당연하게 여기다) = for sure (확실히, 틀림없이, 물론) + That's for sure : 어떤 말을 하고 끝에 이 표현을 붙이면 "다른건 몰라도 이건 확실해" 라는 뜻이됨 ▶ 응용 You've been taking for granted his favor, that's for sure. (너는 그의 호의를 당연하게 여겼어 이건확실해) I don't know what happen yesterday exactly. but she stayed in my house then. That's for sure. (..
1. List(리스트)란? : 대괄호[] 를 이용해 값을 나열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겠다. (내용은 변동 가능하다.) ex) example = ["kakao", "naver", "google"] 2. List(리스트) 안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문장들 알아보기 1. 값 추가 (append) 1-1. 값 추가 (+=) 1-2. 값 추가 (insert) 2. 값 제거 (del) 2-1. 두 개 이상 값 동시 제거방법 (슬라이싱) 3. 리스트끼리의 합 4. 최대, 최솟값 (max, min) 5. 값의 개수 (len) 6. 정렬 (sort, reverse) 3. List(리스트)를 문자열 형식으로 출력하기 (.join)
% formatting 연산자와 포맷 스트링을 사용하는 방법이며, 초기에 사용되던 오래된 방식이다. 대표적인 포맷 스트링의 종류에는 3가지가 있으며 %d(정수), %s(문자), %f(실수) 이다. 양식 : "%d" %(정수) / "%s" %(문자) / "%f" %(실수) 단점 : 타입을 정확히 알고 사용해야하며, 문자열이 길어지면 문장이 지저분해진다. str.format( ) Python3 지원되는 방법이며 {} 괄호를 이용한 포맷팅 방법이다. %와 동일한 기능지원, 변수 타입과 상관없이 괄호만 잘 이용하면 된다. 양식 : "{ }" .format( ) f-string Python3.6 이상 버전에서 지원하는 방법이며 이전 방식들에 비해 상당히 간편해졌다. 양식 : f "{인자}"
How 와 What~like 의 차이점이다. 한국인의 90퍼센트가 무언가를 질문할 때 How 의 방법만 사용한다고 하는데 What~like? 구문을 사용하면 더 풍부한 대화를 이어갈 수 있으니 자주 사용할 수 있게되면 더 좋을 듯 하다. Make sure you guys have a PROM date. When you are going. (프롬에 갈땐 꼭 데이트로 가세요.) = make sure : 반드시 ~해, 꼭 ~해 (강제성 O) 응용 : Make sure you take a credit card when you go to market. (시장갈때 꼭 신용카드 챙겨가요.) I had 0 expectation and what I saw was -100. (기대안하고 갔는데도 기대이하였어요.) = - ..
문자열 인덱싱이란? : 문자열에서 한 글자를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파이썬 인덱싱은 좌로 0부터, 우로 -1 부터 시작한다. 알기 쉽게 그림예제를 통해 살펴보자 "a"라는 문자열을 출력하게 되면 위에서 처럼 "Hi! Data" 라는 값이 나온다. 이를 인덱싱 관점으로 나열하게 된다면 이런 식으로 표현이 되며 인덱싱에는 공백도 포함이 된다. 두 번째 줄이 앞에서부터(0~7) 나열된 문자이고 세 번째 줄이 뒤에서부터(-1~-8) 나열된 문자이다. 각각의 출력 방법은 [ ] 를 사용하며 아래와 같다. print(a[0]) = a의 문자열중 앞에서 0번째 문자를 출력하라는 뜻으로 해석 문자열 슬라이싱이란? : 문자열에서 여러 글자를 가져오는 것, 무언가를 잘라내는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음 슬라이싱은 앞서..
We gonna take a selfie! This might not turn out good... (셀카찍자! 망할수도 있지만..) = might not : ~아닐것 같다. 응용 : I don't know if we meet today, I might not have time. (오늘 만날수있을지 몰라, 시간이 없을 수도 있어) Everyone smoosh! (가까이 붙어!) = smoosh : 깔아뭉게다. 상대를 밀다. 납작하게 하다. 응용 : Don't smoosh me!(누르지마!) I haven't put this much makeup in like 2 months. (저 약 2달만에 풀메이크업 했어요) = have not pp : ~하지 않았다. 응용 : I haven't eaten th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