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fortunately I'm not gonna be able to take this camera out to try it out. (불행히도 이 카메라를 들고나가서 사용해볼 수 없을 것 같다.) = not gonna be able to : ~ 할 수 없을 것 같다. 응용 : I think we're not gonna be able to have a dinner today because the typhoon BAVI is coming. (태풍 BAVI가 오고 있어서 오늘 저녁은 못 먹을 것 같다.) : Unfortunately I don't think you gonna be able to go with us. (아쉽게도 당신은 저희와 함께 갈 수 없을 것 같다.) *오디션 프로그램 단골 멘트? I've..
반복문(Repetitive Statement)이란? 문장을 반복적으로 수행 정해진 동작을 반복하여 처리할 때 사용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반복문 > while 문 ▶ 어떤 조건이 만족하는 동안 문장을 수행하고 만족하지 않는 경우 수행 중단 ▶ while 문 기본 문법 >> 활용 예시 ▶ while문 예제 ① - 1부터 10까지 반복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라. - 3번째 줄[print(i)] 에서 끝내버리면 i는 계속 1이기 때문에 무한대로 출력이 된다. - 4번째 줄은 i + 1 = i 의 표현 연산 식이고 3번째 줄에서 i를 출력하고 4번째 줄에서 1을 더하고 계속 누적 반복된다. - 10이라는 숫자에 도달할 때까지 ▶ while문 예제 ② - 1부터 10까지의 값을 더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라. :..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이란? 조건에 따라 문장을 수행한다. 주어진 조건을 판단하고 상황에 맞는 처리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조건문 > If 문 ▶ If 문은 True와 False를 판단하는 조건문이다. ▶ If 조건 뒤에는 반드시 콜론( : ) 이 들어가야 한다. ▶ If 문 기본 문법 형태 if의 이 True(참)이라면 을 수행하라 > 활용 예시 ▶ if 문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미세먼지 농도 pm 35 초과는 미세먼지 농도 나쁨 > If - else 문 ▶ else 문 뒤에는 반드시 콜론( : ) ▶ if-else 기본 문법 형태 if 의 이 True이면 을 수행하고, False 이면 else의 를 수행하라 > 활용 예시 ▶ if-else 문을 이용한 미..
Maybe I sould postpone the lunch like 30 minutes. and see if it comes before that. (점심 30분 연기하고 그거 올 때까지 보는 게 낫겠어) = Maybe + S + should : 아마 ~ 하는것이 좋겠어 / ~해야 할 것 같아. 응용 : Maybe you should call her right now. (너 지금 당장 그녀에게 전화해야 할것 같아.) I need the UPS to come by my house. right now. (집에 올 UPS가 필요해 당장) = come by : 들르다 = UPS : 택배회사 인듯 (like 한진택배) 응용 : John's Family will come by my house tomorrow. (J..
마크다운(Markdown) 이란? : Markdown(마크다운)이란 Markup(마크업) 언어의 일종으로, HTML경험이 없는 사람도 누구나 쉽게 헤더,글 머리 기호, 이미지 삽입, 링크, 글자 모양 등 다양한 서식(포맷)을 쉽게 추가하는 방식의 문서 편집 문법이다. 1. 제목(Heading) 표시 : # #Heading 1 ##Heading 2 ###Heading 3 ####Heading 4 #####Heading 5 ######Heading 6 # 이 많아질 수록 제목 서식의 크기가 줄어든다. 2. 목록(List) 구성 1. 첫째 2. 둘째 3. 셋째 * 1단계 +2단계 -3단계 3. 폰트 스타일(Font Style) **bold** ▶ bold __bold__ ▶ bold *italic* ▶ ita..
help() : help( )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커멘드가 어떤 용도로서 사용되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 - 'min' 함수의 활용 용도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 ? 로 설명보기 : 객체 요약 정보 및 사용법이 있는 docstring 을 볼 수 있다. max라는 커멘드에 ? 를 붙이게 되면 max 요약정보 및 사용법이 있는 위 사진과 같은 Docstring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사용법을 다시한번 숙지 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list 함수가 있다고 가정하고 "?" 를 사용해보자 본인이 정의했던 값과 타입(type), Length 를 알려준다. def 커맨드로 power() 커멘드를 임의로 """b의 n승을 반환""" 이라 정의내렸다. 이때 ? 를 사용 하게되면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한 값이 ..
Google Colab 이란? Google Colaboratory의 줄임말로서 구글 클라우드 기반의 무료 개발 환경 서비스이다. 특징 환경설정 및 실행까지 매우 빠른 환경 딥러닝 실행이 가능한 정도의 고사양 환경 제공 Jupyter Notebook 환경 제공 여러 사용자들과 동시에 사용 가능 기기 상관없이 인터넷만 있으면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접속 가능 목차나 Markdown 미리 보기 등 다양한 기능 제공 구글 드라이브, Git, Github와 연동 가능 주의 사항 구글 계정이 필요하다. 최대 세션 유지 시간이 존재(12시간) => 장기적으로 12시간이 넘어가는 작업은 제한된다. 세션이 종료되면 작업 중이던 데이터는 모두 삭제된다. 사양 확인하기 Google Colab 런타임(Runtime) GPU ..
It was supposed to come yesterday. (어제 올 예정이었다.) : be supposed to : ~해야 한다. (하지만 안 했다) * 무언가를 해야 하지만 안 했다 라는 의미로서 일상 회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라고 한다. 응용 : Mom was supposed to give me a pocket money. (엄마가 용돈을 줄 예정이었다.) : We were supposed to have bithday party yesterday. (우리는 어제 생일파티를 해야 했다.) +다른 표현 What's that supposed to mean? (무슨 뜻으로 하는 말이야?) be supposed to가 포함되어있지만 ~해야 한다 라는 의미로 쓰이진 않았다. 이 표현은 관용적인 표현으로..